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울산시 (아름다운 어촌 정자마을 및 당사마을)
    관광지 여행 2011. 3. 6. 19:37

     

    아름다운 어촌 정자마을 (울산시)

    *소재지 : 울산시 북구 정자 

    해양수산부는 어촌관광 활성화와 어민소득 증대를 위해 주변경관과 어업체험 여건 등이 뛰어난 ‘아름다운 어촌 100곳’을 선정, 발표했다. 이번 아름다운 어촌 100곳에 울산지역에는 동구 일산마을, 북구 정자·당사마을, 울주군 대송마을 등 3곳이 선정됐다.

     

    정자항의 주요 어종은 문어와 가자미인데 최근 수온 변화로 울진, 영덕의 중심 어종이었던 대게를 정자 앞바다에서도 잡을수 있게 되었다.  정자항은 고래모형의 흰등대 및 빨간 등대가 아름다움을 더한다. 정자항에 오시면 싱싱한 회 및 정자대게를 맛 볼수있는 횟집이 절비하며, 정자항 바로 옆에있는 정자해변(정자해수욕장)은 겨울에는 바다의 낭만을 여름에는 해수욕으로 즐거움을 더한다.

     

    *여행일자 : 2011년 3월 6일 (일요일)

     

     ▲ 안내도

     

     

     

     ▲ 휴식을 취하고 있는 갈매기

     

     

     

     

     

     

     

     

     

     

     

     

     

     

     

     

     

     

     

    ▲ 고래 형상의 하얀등대 및 빨간등대 

     

      

     

    ▲ 하얀고래 등대가 있는 곳에서 본 정자항

     

     

     

    ▲ 고기를 많이잡고 항으로 들어오는 배가 보인다

     

     

     

    ▲ 일요일이라 엄청 복잡한 정자항 모습

     

     

     

    ▲ 배에서 갖 잡아온 고기들

     

     

     

     ▲ 고기를 손질하여 말리고 있다

     

     

     

    ▲ 싱싱한 고기를 팔고있는 활어공판장 모습

    (정자항은 정자대게로도 유명하다)

     

     

     

    ▲ 정자항에서 본 정자해변쪽 경치

     

     

     

    ▲ 정자항에는 배 모양의 참한 화장실겸 전망대가 있다 

     

      

    ▲ 기념사진 

     

     

     

     ▲ 기념사진 (정자항 옆에있는 정자해수욕장에서)

     

     

     

     ▲ 기념사진 (힘차게 돌을 던져 본다)

     

     

     

    ▲ 기념사진 (힘차게 돌을 던져 본다)

     

     

     

    아름다운 어촌 당사마을 (울산시)

    *소재지 : 울산시 북구 당사동

     

    *여행일자 : 2011년 3월 26일

     

     ▲ 안내도

     

     

     

    ▲ 당사마을 해변경치 

     

     

     

     

     

     

     

     ▲ 낚시를 하시는 분의 모습

     

     

     

    ▲ 당사항에서 본 등대

     

     

     

    ▲ 배 위에서 갈매기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 당사자연산활어공판장이 보인다

     

     

     

    ▲ 갈매기의 휴식 

    (뒤쪽으로는 미역을 손질하여 말리는 어민들의 손길이 바쁘다)

     

     

     

    ▲ 미역을 많이 말리고 있다

     

     

     

    ▲ 먹음직 스러운 미역 

     

     

     

    ▲ 마을 구멍가게 

     

     

     

    ▲ 수령 약450년된 느티나무 (보호수로 지정됨) 

     

     

     

    ▲ 폐교된 학교를 이용한 추억의학교와 자연사박물관 

     

     

     

    ▲ 이승복 동상 

     

     

     

    ▲ 수업 시작과 종료를 알리던 추억의 종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