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경주시 (감은사지, 이견대, 문무대왕릉)
    관광지 여행 2010. 11. 29. 19:51

     

    감은사지, 이견대, 문무대왕릉 (경북 경주시)

     

    *여행일자 : 2010, 11, 28 (일요일)

     

    ▲ 안내도

      

     

    감은사지

     

    *소재지 : 경북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55-1

     

    감은사(感恩寺)는 신라 제30대 문무대왕이 삼국통일의 대업을 성취하고 난 후, 부처님의 힘으로 왜구의 침입을 막고자 이곳에 절을 세우다 완성하지 못하고 돌아가자 아들인 신문왕이 그 뜻을 좇아 즉위한 지 2년 되던 해인 682년에 완성한 신라시대의 사찰이었다. 문무대왕은 죽기 전 내가 죽으면 바다의 용이 되어 나라를 지키고자 하니 화장하여 동해에 장사지낼 것을 유언하였는데, 그 뜻을 받들어 장사한 곳이 바로 대왕암이며 부왕의 은혜에 감사하여 사찰을 완성하고 이름을 감은사라 하였다고 전하고 있다.
    현재의 모습은 1979년부터 2년에 걸쳐 전면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얻어진 자료를 통해 창건 당시의 건물 기초대로 노출 정비한 것이며, 아울러 금당의 지하에는 바다용이 된 문무대왕의 휴식을 위한 상징적인 공간을 마련한 특수 구조와 동쪽으로 통로를 만들었다고 하는 흔적도 밝혀 놓은 것이다.

     

     

    감은사지 전경

     

     

     

    감은사지 배치도

     

     

     

    금당터

     금당의 지하에는 바다용이 된 문무대왕의 휴식을 위한 상징적인 공간을 마련한 특수 구조와 동쪽으로 통로를 만들었다고 한다

     

     

     

     

    감은사지 삼층석탑 (국보 제112호)

     

     

     

    삼층석탑 설명문

     

     

     

     

     

     

     

    해설사가 탐방객들에게 설명을 해주고 있다

     

      

     

    이견대

     

    *소재지 : 경북 경주시 감포읍 대본리 661

     

    ▲ 이견대 (이견정)

     

     

    이견대 설명문

     

     

     

    이견정에서 본 문무대왕릉 (왼쪽에 있는 바위섬)

     

     

     

    이견정 너머로 문무대왕릉이 보인다 

     

     

     

    문무대왕릉

     

    *소재지 : 경북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문무대왕릉 전경

     

     

     

    문무대왕릉 설명문

     

     

     

    문무대왕릉 조감도

     

     

     

    문무대왕릉

     

     

     

    문무대왕릉에서 갈매기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기념사진

     

     

     

    기념사진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