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경남 양산시] 통도사의 자장암, 극락암, 백운암
    관광지 여행 2010. 3. 15. 10:30

     

     

      ▲ 안내지도

     

     통도사 자장암 (경남 양산시)

    통도사 매표후 자장암까지 차로 이동 가능함 

     

    *탐방일자 : 2010년 3월 14일 (일요일)

     

    ▲ 자장암으로 들어가는 소담스러운 문

     

     

     

     

     

     

     

    ▲ 일주문 

     

     

     

    자장암 마애불상

     

     

     

     

     

     

     

    마애불상 뒷쪽의 나무들 

     

     

     

    풍경 및 마애불상 

     

     

     

     ▲ 금와공 속으로 금개구리(금와보살)가 있나없나 보고있다

     

     

     

     금개구리 (금와보살) - 보지못해서 자장암에 걸려있는 사진을 찍은것임

     

     

     

     

     

     

     

     

     

     

     

     

     

     

     

     

     

     

     

     

     

     

     

     

     

     

     

    바위위에 석탑도 보인다

     

      

     

     

     

     

     

    매화꽃이 막 피기 시작한다 

     

     

     

    자장암 옆을 흐르는 자장동천 - 통도사 팔경에 들며 계곡이 아름답다 

     

     

     

     기념사진

     

     

     

     기념사진

     

      

     

     

    통도사 극락암 

    극락암까지 차로 이동 가능함

    1332년 (고려 충헤왕2)에 창건되었고, 1758년 (조선 영조34)에 철홍이 중창하였다. 이 암자에는 극락선원이 있어서 늘 많은 수행승이 머물고 있으며, 경봉 큰스님이 30년간 있었던 곳이기도 하다. 암자 입구에 있는 극락영지는 영축산의 봉우리가 비치는 연못으로 홍교가 가로놓여 있다.

     

    홍교를 건너 극락암으로 들어가고 있다 

     

     

     

    극락영지 - 맑은 날이면 영축산 봉우리가 비치는 연못이다

     

     

     

     

    여시문 

     

     

     

    영월루 

     

     

     

     

     

     

     

     ▲ 극락암의 홍매화

     

     

     

     

     

     

     

     

     

     

     

     

     

     

     

     

     

     

     

     

     

     

     

     ▲ 삼소굴

    (삼소굴은 경봉 큰스님이 1953~1982년 까지 30년간 거처하던 곳이다)

     

     

     

    ▲ 삼소굴 담장에 산수유가 활짝 피었다 

     

     

     

    운무에 가려진 영축산

     

     

     

     기념사진

     

     

     

     

      기념사진

     

     

     

    통도사 백운암

     극락암 조금위 주차장에서 걸어서 약30분 걸림

     극락암과 비로암의 사이로 난 소나무 숲의 오르막길을 따라 영축산 봉우리 8부 능선까지 올라가야 한다. 흰구름이 떠도는 높은 곳에 있다는 뜻에서 절 이름을 백운암이라 했는지도 모른다

     

     ▲ 백운암으로 올라가다 본 돌탑

     

     

     

     

     

     

     

     

     

     

     

     

Designed by Tistory.